빗물받이 점검
집중호우가 잦은 여름철, 빗물받이 관리에 더 높은 관심이 필요하다. 주변 빗물받이가 담배꽁초 등 쓰레기가 쌓여있지 않은지, 덮개나 장애물로 물빠짐이 방해받고 있지는 않은지 점검해보자. 빗물받이가 막혔을 경우 즉시 구청 물관리과 또는 다산콜(☎02.120)로 신고하면 된다.
문의 물관리과 ☎02.2155.7138
침수방지시설 설치
침수피해가 우려된다면 물막이판과 역지변 밸브 등 침수방지시설 설치를 권장한다. 지하주택, 소규모 상가의 경우 설치비 전액을, 지상 단독·공동주택의 경우 설치비의 90%(단독주택 최대 200만원, 공동주택 최대 1000만원)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. 가까운 동주민센터나 구청 물관리과로 직접 방문하여 신청하면 된다.
문의 물관리과 ☎02.2155.7136
풍수해·지진재해보험 가입
태풍, 홍수, 호우, 강풍, 풍랑, 해일, 대설, 지진 등 자연재해에 대비하여 정부가 보험료의 55~100%를 지원하는 보험이다. 주택, 비닐하우스, 상가, 공장 등 재해취약 지역 내 건물이 대상이며 국민재난안전포털 홈페이지, 가까운 동주민센터 또는 물관리과로 문의하면 된다.
문의 물관리과 ☎02.2155.7138
에어컨 등 냉방기 점검
냉방기 사용으로 인한 화재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전선이 손상되거나 눌리는 곳은 없는지, 냉방기 내 먼지를 충분히 제거했는지 사용 전에 확인해보자. 에어컨은 전력 소모가 큰 만큼 단독콘센트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며, 실외기는 통풍이 잘 되는 곳에 설치하고 주변도 깔끔하게 정리하는 것이 좋다.
문의 ☎02.120
무더위쉼터 이용
경로당 67곳, 복지관, 느티나무쉼터, 각 동주민센터, 구립도서관 외에 올해는 개방형 커뮤니티인 시니어라운지 7곳도 추가해 총 107곳을 무더위쉼터로 운영한다. 폭염특보 시 연장쉼터로 지정된 각 동주민센터 및 노인복지관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, 주말에는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이용할 수 있다.
문의 안전도시과 ☎02.2155.7104
집중호우 행동요령
4 침수 시 전기·가스를 차단하고 대피하세요
폭염대비 행동요령
4 어린이, 노약자, 반려동물을 차 안에 방치하지 마세요